User 정보를 다루다보면 개인정보들은 암호화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비밀번호는 당연히 hashing 처리해오다 문득 이메일, 전화번호 같은 정보들도 암호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문제는 비밀번호와 달리 복호화도 가능해야한다는 것! NestJS에서는 공식문서에서 Encryption과 Hashing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공식문서 내용과 살짝 커스텀한 내용으로 정리해보자.
AES()가 뭐죠…?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는 동일한 키를 가지고 암호화, 복호화를 진행하는 대칭 키 알고리즘이다. DES에 비해 빠르고 코드 효율성이 높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
[AES 암호 알고리즘(Advanced Encryption Standard)](https://www.crocus.co.kr/1230)
MySQL은 AES 암호화를 지원합니다.
MySQL 5 이상부터 AES 암호화, 복호화를 지원한다고 한다. 그래서 QUERY에서 암호화를 적용해서 읽고 쓰고가 가능하다. 나는 주로 PostgreSQL을 사용하는데, extension 설치를 통해서 적용 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TypeORM을 쓰고 있기 때문에, 따로 QUERY로 코드를 변경하는게 썩 마음에 들지 않아서 서버에서 암호화 복호화 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소스코드
일단은 공식문서에서 제공하는 코드부터 살펴보자
암호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import { createCipheriv, randomBytes, scrypt } from 'crypto';
import { promisify } from 'util';
const iv = randomBytes(16);
const password = 'Password used to generate key';
// The key length is dependent on the algorithm.
// In this case for aes256, it is 32 bytes.
const key = (await promisify(scrypt)(password, 'salt', 32)) as Buffer;
const cipher = createCipheriv('aes-256-ctr', key, iv);
const textToEncrypt = 'Nest';
const encryptedText = Buffer.concat([
cipher.update(textToEncrypt),
cipher.final(),
]);
|
- iv (Initalization Vector) : 복호화 키 유추를 막기위해 사용하는 완전 랜덤한 값이다. 랜덤값을 사용하는게 권장되지만 데이터 저장시 사용한 iv 값을 같이 저장하기 때문에(ex) {iv}:{encryptedData} ) 데이터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암호화된 값이 매번 달라지는게 장점이면서도, unique 체크를 해야하는 데이터에 경우엔 맞지않는다. AES는 128 bit(16 byte) 단위로 암호화하기 때문에 iv도 16 byte로 설정해야한다.
- password : 암호화에 사용될 키 값을 생성하기 위한 비밀번호이다. 절대 유출되지 않아야하기 때문에, .env를 사용해서 설정하자.
복호화
1
2
3
4
5
6
7
| import { createDecipheriv } from 'crypto';
const decipher = createDecipheriv('aes-256-ctr', key, iv);
const decryptedText = Buffer.concat([
decipher.update(encryptedText),
decipher.final(),
]);
|
공식문서에서의 코드로 실행해보면 결과값이 Buffer 값으로 나온다. DB에는 Buffer값을 저장할 순 없으니, base64 또는 hex로 변환해서 사용하는게 좋은 것 같다. 그래서 공식문서의 코드를 바로 사용하기엔 조금 애매하고 실환경에 맞게 다시 코드를 짜보자
1. iv값을 랜덤으로 설정하는 경우
- 불러오기 편하게 repository 형식으로 service를 만들어주자.
- Key는 미리 지정한 비밀번호를 불러와서 생성한다. Key 자체를 만들어서 보관해도 괜찮을 것 같다.
- 암호화된 값을 hex로 관리하는 경우도 있던데 나는 base64로 처리해봤다.
- 혹시몰라 암호화 방식도 .env로 지정해줬다. 공식문서의 aes-256-ctr 외에도 많은 알고리즘이 있으니, 그 중에서 선택해서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import { promisify } from 'util';
import { scrypt, createCipheriv, createDecipheriv, randomBytes } from 'crypto';
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njectable()
export class EncryptionService {
/**
* AES 암호화, 복호화용 KEY값 반환
* @returns key: Buffer
*/
private async getKey(): Promise<Buffer> {
return (await promisify(scrypt)(
process.env.AES_ENCRYPTION_PASSWORD,
'salt',
32,
)) as Buffer;
}
/**
* AES-256 암호화
* @param text 암호화할 텍스트
* @returns 암호화된 base64 텍스트
*/
async encrypt(text: string): Promise<string> {
const iv = randomBytes(16);
const key = await this.getKey();
const cipher = createCipheriv(process.env.AES_ALGORITHM, key, iv);
const encryptedText = Buffer.concat([cipher.update(text), cipher.final()]);
return iv.toString('base64') + ':' + encryptedText.toString('base64');
}
/**
* AES-256 복호화
* @param text 복호화할 텍스트
* @returns 복호화된 텍스트
*/
async decrypt(text: string): Promise<string> {
const splitText = text.split(':')
const iv = Buffer.from(splitText[0], 'base64')
const encryptedText = Buffer.from(splitText[1], 'base64');
const key = await this.getKey();
const decipher = createDecipheriv(process.env.AES_ALGORITHM, key, iv);
const decyptedText = Buffer.concat([
decipher.update(encryptedText),
decipher.final(),
]);
return decyptedText.toString();
}
}
|
위 방식으로 진행하면 iv가 항상 변하기 때문에 암호화된 값도 항상 변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데이터라면 상관없지만 이메일, 전화번호, 주민번호 처럼 DB에서 unique한 속성을 가져야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엔 위의 코드를 적용할 수 없다.
2. iv값을 지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import { promisify } from 'util';
import { scrypt, createCipheriv, createDecipheriv } from 'crypto';
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njectable()
export class EncryptionService {
/**
* AES 암호화, 복호화용 KEY값 반환
* @returns key: Buffer
*/
private async getKey(): Promise<Buffer> {
return (await promisify(scrypt)(
process.env.AES_ENCRYPTION_PASSWORD,
'salt',
32,
)) as Buffer;
}
/**
* AES-256 암호화
* @param text 암호화할 텍스트
* @returns 암호화된 base64 텍스트
*/
async encrypt(text: string): Promise<string> {
const iv = Buffer.from(process.env.AES_ENCRYPTION_IV, 'base64');
const key = await this.getKey();
const cipher = createCipheriv(process.env.AES_ALGORITHM, key, iv);
const encryptedText = Buffer.concat([cipher.update(text), cipher.final()]);
return encryptedText.toString('base64');
}
/**
* AES-256 복호화
* @param text 복호화할 텍스트
* @returns 복호화된 텍스트
*/
async decrypt(text: string): Promise<string> {
const iv = Buffer.from(process.env.AES_ENCRYPTION_IV, 'base64');
const encryptedText = Buffer.from(text, 'base64');
const key = await this.getKey();
const decipher = createDecipheriv(process.env.AES_ALGORITHM, key, iv);
const decyptedText = Buffer.concat([
decipher.update(encryptedText),
decipher.final(),
]);
return decyptedText.toString();
}
}
|
실제로 서비스할때는 어떻게 운영할까
DB에는 이제 암호화된 값으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SELECT 해서 return 해주면 암호화된 값을 내려보내게된다. 그래서 복호화를 해줘야 의미있는 데이터가 되는건데, 복호화는 어디서 진행하는게 맞을까.
Client에서 복호화
- key, iv값을 client와 공유해서 client에서 직접 복호화 할 수 있다.
- http 통신중에 해킹 당할 것을 생각한다면, 위 방식이 맞을 것 같다.
- 하지만 Client의 컴퓨팅 파워를 사용해야하고, key 또는 iv 값이 변경되면 해당 내용이 반영되어야한다.
- iv는 유츌되도 상관없지만 key은 절대 안된다. Mobile이 비교적 이런 이슈에 취약하다고 느껴지는데, Android는 Proguard 설정으로 다시 한번 암호화된 소스코드를 가지고 있으니 괜찮을 것 같기도 하고…React와 같은 Web Frontend에서는 어떻게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Backend에서 복호화
- 직접 복호화를 해서 데이터를 전달해 줄 수 있다.
- 결국 DB에만 암호화되고, 통신중에는 암호화된 값이 아니기 때문에 암호화가 크게 의미가 없는 듯 있는 듯한 느낌.
- Key 또는 iv값 변경에도 크게 영향 받을 일 없고, 서버가 털리지 않는 이상 key가 유출될 위험도 적다.
그래서 어떻게 할까요?
모바일 개발자분과 다른 서버 개발자분과 함께 얘기해봤었는데, 결론은 정답이 없다였다. 위의 설명한 장단점에 따라 상황별로 선택하는게 맞을 것 같고, Backend 또는 Frontend 중 입김이 샌 쪽이 하자는대로 될 것 같기도 하다ㅎㅎ
정리
평소 비밀번호 외에는 크게 암호화에 대해 관심이 없었는데,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인정보 관련된 보안을 적용하면서 배우게 되었다. 정책적인 부분이지만 개발자도 알고 처리하는게 필요하다고 느껴진다. 개인정보는 대상을 특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어디까지 암호화 할 것 인가도 고민이 있었는데, 법으로 지정된 부분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암호화 해야 하는 정보와 저장하면 안 되는 정보